제가 목회인생의 여정을 가면서 마음속 깊이 맨토로 모시고 있는
지구촌 교회의 이동원 목사님이 주고있는 영적인 도전과 자극의 글을
그대로 옮겨봅니다…
제목은 “의식과 행동 사이에서” 입니다.
한국 교회가 처한 암담한 우리들의 초상화를 바라보면서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일꾼 된 ‘의식’이 더 중요한가? 아니면 ‘행동’이 더 중요한가를 질문한 일이 있었다. 대부분의 평신도들은 물론 ‘행동’이라고 대답하였다.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는 야고보서의 말씀을 떠 올리지 않아도 우리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이 처한 윤리적 정황을 누구보다 스스로 더 잘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교우들에게 이런 사례를 들어 이야기한 일이 있었다. 교회 공동체내에서 어떤 교우들은 마치 주인처럼 행동하는 이들도 있고, 어떤 이들은 손님처럼 행동하는 이들이 있다. 무엇이 그런 차이를 가져 왔을까? 나는 그것이 바로 의식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주인의식이 있는 이들은 주인처럼 행동하고, 손님 의식을 가진 이들은 결국 손님처럼 행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면 정말 중요한 것은 의식의 훈련이다.
바울 사도의 편지에는 일정한 형식이 있음을 발견한다. 예컨대 에베소서의 핵심은 교회론이다. 바울은 먼저 에베소 1-3장까지 교회가 무엇인가를 원리적으로 접근하여 가르친다. 그리고 4-6장까지 그런 원리에 입각한 공동체내에서의 실천내지 행동을 다루고 있다. 골로새서도 마찬가지다. 골로새서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주권이다. 먼저 1-2장에서 교리적으로 주권론을 말한 다음 3-4장에서 주권을 적용하는 실제적인 실천과 행동을 권면한다.
오늘의 한국 교회의 부실한 기초는 단순히 윤리적 실천의 허약성이라기보다 성경적 의식화 운동의 부재 때문이 아닌가를 반성한다. 그런데 이런 건강한 의식화 운동의 출발은 마르크스의 교재가 아닌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진지하게 다시 읽고 하나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려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나는 이런 성경적 의식화 운동의 본질이 바로 의식을 깨우는 영성 운동이라고 믿는다.
우리 가운데 맑고 깊고 깨끗한 영성의 강이 흐르기 시작한다면 시절을 따라 열매를 맺는 아름다운 행동을 결실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지나친 낙관론일까. 지나간 교회 역사에서 진정한 변화를 가져온 행동가들은 피상적 사회 변혁 가들이 아닌 영성가 들이었다고 나는 믿는다. 영적 각성이 바로 사회 변혁의 큰 강을 만들어 내었던 것이다. “예언의 말씀을 읽고 듣고 지키는 자들이 복되다”는 이 단순하지만 심오한 말씀이 여전히 한국 교회의 윤리적 희망이라고 나는 믿는다.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이 글을 깊이 묵상하면서 몇가지 중요한 질문을 스스로 던져보았습니다!!!
1) 믿음이 행함으로, 즉 의식이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에 대한 가르침을 왜 많은 한국 교회들이 구체적으로 주지 못하는가?
2) 의식과 믿음의 훈련이 행동과 실천을 가능케 한다면 왜 성도들은 의식과 믿음의 성장과 성숙을 위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공부하고 나누는 자리를 기피하는가?
3) 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주권을 그리도 목숨과 같이 강조하면서, 자신들이 마땅히 실천에 옮겨야하는 의무와 책임은 등한시 하는가?
4) 성경적 의식화 운동, 즉 하나님의 말씀과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인생의 DNA 가 되게 하고, 성육화되게 하기 위해 주께서 당신의 공동체안에 세우신 목자들과 양들은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하여 부르심과 소명에 최선을 다할 수 있을까?
5) 한국교회와 이민교회의 미래…무엇이 비전이고 소망일까? 그리고 그 비전과 소망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부족한 종은 저와 함께 진리의 말씀을 나누고, 함께 중보하는 동역자들과 올해가 가기전에 위에 언급한 질문들을 가지고, 진지한 나눔과 토론의 시간을 갖고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만나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을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여러분들을 주님의 말씀으로 섬기고
여러분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통해서
스스로가 늘 깨어있어야함과
끊임없이 성장해야만함을
절실히 거룩한 부담감으로 받는 것을
기뻐하고 감사해하는 부족한 종이…..